* 정의
두 호스트 사이의 RTT 값은 일정하지 않고 시간에 따라 변하면서 RTT의 기대값으로부터 편차를 발생시키는데 이런 편차를 지터링(jittering)이라고 한다. 네트워크 지연 요소 모두가 지터링의 요인이 될 수 있지만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다르다.
* 요인
- 처리 지연
네트워크 지연 요소 중 가장 지터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. 라우터가 패킷 전달 경로를 동적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처리 지연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지만 신경 쓸 필요 없다.
- 전송 지연 및 전파 지연
패킷이 타고 가는 경로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. 링크 계층 프로토콜이 전송 지연 정도를 좌우하며, 경로의 길이가 전파 지연 정도를 좌우한다. 라우터가 동적으로 로드 밸런싱하여 트래픽을 조절할 때, 크게 혼잡한 지역을 우회할 때 이들의 정도가 달라진다. 트래픽이 많은 시간대에 경로 변경이 많이 일어나게 되므로 RTT 값이 크게 변한다.
- 큐잉 지연
라우터가 처리할 패킷의 숫자에 따라 큐잉 지연 정도가 변동된다. 트래픽이 급격히 몰리는 상황에서 큐잉 지연이 심하게 발생하여 RTT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* 영향
- RTT 대응 알고리즘에 부정적인 영향
- 패킷이 도착하는 순서가 완전히 뒤바뀌기도 한다. (트래픽에 따라서 경로를 우회하는 과정에서 발생)
- ...
* 해결 방안
- 패킷 순서대로 전달을 보장하는 신뢰성 프로토콜 TCP 사용
- 패킷 순서를 보장하는 신뢰성 시스템 구축
- 패킷을 가능한 적게 보내어 트래픽을 낮게 유지
- 트래픽이 많은 지역을 피하고자 플레이어와 가까운 지역에 서버를 설치
- 프레임 레이트을 일정하게 유지 // 복잡한 작업은 여러 프레임에 나눠서 처리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라이언트 측 예측 / 서버 측 되감기 (0) | 2022.01.26 |
---|---|
더미 터미널 클라이언트 / 클라이언트 보간 (0) | 2022.01.26 |
레이턴시 (0) | 2022.01.08 |
리플리케이션 (0) | 2022.01.04 |
직렬화 (0) | 2021.12.31 |